홍익인간(弘益人間)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한다.
재세이화(在世理化) 세상에 있으면서 이치에 따라 다스리고 교화한다.
아마도 이 짧은 글이 대한국인의 정체성인 듯.. 이화 하니까 생각이 나네요.
이화(梨花)에 월백(月白)하고 은한(銀漢)이 삼경(三更)인데
일지춘심(一枝春心)을 자규(子規)야 알랴마는
다정(多情)도 병인양하여 잠못들어 하노라.
배나무꽃에 하얀 달빛이 내리고 은하수 가득한 깊은 밤에
나뭇가지에 어린 봄 같은 내 마음을 소쩍새야 네가 알겠냐마는
정이 많은 마음도 병인 모양인지 잠들 수가 없구나.
이조년(李兆年, 1269~1343)은 고려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이다. 호는 매운 당(梅雲堂).
꼬리에 꼬리를 무는 상념 속에서 한수 더 나아가 봅니다.
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(戍樓)에 홀로 앉아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성 위 누각에 홀로 앉아
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할 때에
어디서 일성호가(一聲胡笳)는 나의 애를 끊나니 어디선가 들려오는 한 곡조 피리소리는 나의 슬픔을 차오르게 하나니
三尺誓天山河動色, (삼척서천산하동색)
一揮掃蕩血染山河. (일휘소탕혈염산하)
석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하가 떨고,
한 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산하를 물들인다.
그의 고뇌와 그의 기개가 잘 나타난 듯...